홍콩의 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콩의 구는 홍콩의 행정 구역을 구성하는 하위 행정 단위로, 홍콩은 18개의 구로 나뉘어 있다. 각 구는 구의회, 민정사무국, 구청장, 구 관리 위원회 등의 행정 기구를 갖추고 있으며, 구의회는 구의 문제 및 홍콩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에 대해 자문 역할을 한다. 구의회는 구내 주민의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 공공 서비스 제공, 정부 프로그램, 지역 사회 활동 등에 대해 정부에 조언하고, 환경 개선, 레크리에이션 및 문화 활동 증진, 지역 사회 활동을 수행한다. 민정사무국은 구정 관리 계획, 지역 사회 조성, 소규모 환경 개선 사업 등을 담당하며, 각 구청장은 구를 대표하여 구정 관리 제도를 감독한다. 2021년 기준으로, 구별 인구 밀도는 도서 구에서 관통 구까지 다양하며, 각 구는 구의 특징에 따라 다양한 통계 자료를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홍콩의 구 | |
---|---|
개요 | |
구분 | 행정 구역 |
관할 지역 | 홍콩 |
시작일 | 알 수 없음 |
현재 구 수 | 18개 구 |
인구 범위 | 137,122명 (도서구) – 607,544명 (사틴 구) |
면적 범위 | (야우침몽 구) – (북구) |
정부 | 구의회 |
하위 행정 구역 | 선거구 |
![]() | |
구 목록 | |
구 목록 | 도서구 콰이청 구 북구 사이쿵 구 사틴 구 타이포 구 췬완 구 튄문 구 윈롱 구 가우룽성 구 관탕 구 삼서이포 구 웡타이신 구 야우침몽 구 중사이 구 둥 구 남 구 완차이 구 |
2. 역사
홍콩의 구역 제도는 19세기 중반 이후 점진적으로 형성되었다. 초기에는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주민 공동체나 길드와 같은 사회적 조직의 역할이 컸으나, 1870년대 이후 문화적 갈등이 심화되면서 지역을 구분할 필요성이 커졌다.[4] 1898년 신계와 신구룡 지역이 영국령 홍콩에 편입되면서, 이 지역들을 관리하기 위해 구역 관리관 제도가 도입되었고 초기 구역 설정의 기초가 마련되었다.
본격적인 구역 행정 제도는 1982년에 시행되었다. 이때 홍콩 전역에 구의회와 구역 관리위원회가 설립되어[7] 지역 행정의 틀을 갖추었다. 이 제도는 지역 주민들의 필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행정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했다. 1997년 주권 반환 이후 잠시 임시 구의회 체제를 거쳐, 2000년부터 현재와 같은 18개 구의회 체제가 확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1982년 구역 행정 제도 시행 이후, 행정 구역에는 몇 차례 중요한 변화가 있었다. 대표적으로 1985년에는 콰이칭 구가 추안완 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고, 1994년에는 야우침 구와 몽콕 구가 합병하여 야우침몽 구가 만들어졌다. 이 외에도 토지 매립, 도시 개발, 선거구 조정 등의 이유로 여러 차례 구역 간 경계가 조정되었다.[8][9][10]
2. 1. 초기 역사 (19세기)
1860년대 홍콩에서는 같은 방언을 사용하는 주민들이 종종 함께 모여 살았으며, 사회 구조가 구역 구조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졌다. 상인들은 길드 형태로 함께 이동하며 여러 지역에서 상품을 판매했다. 남박홍이나 동화병원위원회, "구역 감시 위원회"와 같은 조직들은 특정 구역 경계와는 무관하게 활동하는 경우가 많았다. 구역 분리 개념은 1870년경 쿨리(coolie), 중국인, 영국인 사이의 문화적 갈등이 증가하면서 중요해지기 시작했다.[4] 구역을 통제하려는 최초의 법적 시도 중 하나는 1888년 유럽 구역 예약 조례로, 이는 특정 지역을 유럽인에게만 할당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최초의 도시 계획 조례는 1939년이 되어서야 나타났다.[5][6]신계와 신구룡은 1898년부터 홍콩의 일부가 되었다. 식민지 정부는 이 지역들을 감독하기 위해 구역 관리관을 임명했다. 처음에는 북부 구역 관리관이 타이포에 주둔했다. 북부 구역과 남부 구역은 이후 군도 구역, 툰문 구역, 위엔롱 구역, 사이쿵 구역 등으로 분할되었다.
2. 2. 식민지 시대의 발전 (20세기)
신계와 신구룡은 1898년부터 홍콩 영토로 편입되었다. 식민지 정부는 이 넓은 지역을 관리하기 위해 구역 관리관 제도를 도입했다. 처음에는 타이포에 북부 구역 관리관이 주재했으며, 이후 북부 구역과 남부 구역은 군도 구역, 툰문 구역, 위엔롱 구역, 사이쿵 구역 등으로 더 세분화되었다. 도시 계획과 관련된 최초의 조례는 1939년에 제정되었다.[5][6]1968년에는 홍콩 섬, 구룡, 신구룡 지역에도 구역 관리관이 임명되면서 구역 관리 제도가 확대되었다.[7] 이후 1982년, 구역 행정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어 각 구역에 구의회와 구역 관리위원회가 설립되었다. 이 제도는 홍콩 섬, 구룡, 신계를 모두 포함했으며,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구역 수준에서 정부 서비스 및 시설 제공의 효율적인 조정
- 구역의 필요와 문제에 대한 정부의 신속한 대응
- 구역 문제에 대한 주민 참여 증진
1997년 7월 1일 홍콩 주권 반환 이후부터 1999년 12월 31일까지는 기존 구의회를 대신하여 임시 구의회가 운영되었고, 2000년 1월 1일에는 18개의 구의회가 새롭게 구성되어 현재의 틀을 갖추게 되었다.
1982년 구역 행정 제도 시행 이후 행정 구역에는 몇 차례 주요 변경이 있었다.
2. 3. 구의회 제도 도입 (1982년)
1968년부터 홍콩, 구룡, 신구룡 지역에도 구역 관리관이 임명되었다.[7] 1982년에는 각 구역에 구의회와 구역 관리위원회를 설립하는 구역 행정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는 홍콩 섬, 구룡뿐만 아니라 1898년부터 홍콩의 일부가 된 신계 지역까지 포함하는 것이었다.이 제도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구역 수준에서 정부 서비스와 시설 제공을 보다 효과적으로 조정한다.
- 구역의 필요와 문제에 정부가 더 잘 대응하도록 한다.
- 구역 문제에 대한 주민 참여를 촉진한다.
1997년 7월 1일 홍콩 주권 이양 이후부터 1999년 12월 31일까지는 기존 구의회가 임시 구의회로 대체 운영되었다. 2000년 1월 1일, 18개의 구의회가 다시 설립되어 현재의 틀을 갖추게 되었다.
1982년 구역 행정 제도가 시행된 이후 행정 구역에는 몇 차례 주요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도시 개발, 토지 매립, 선거구 조정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이루어졌다.
2. 4. 구의회 제도의 변화
1860년대 홍콩에서는 같은 방언을 쓰는 주민들이 모여 사는 경우가 많았고, 구역 구분보다는 사회 구조가 더 중요하게 여겨졌다. 상인들은 길드를 이루어 여러 지역에서 활동했으며, 남박홍이나 동화병원위원회, "구역 감시 위원회" 같은 조직들도 특정 구역에 얽매이지 않았다. 하지만 1870년경 중국인 노동자(쿨리), 다른 중국인들, 그리고 영국인 사이에 문화적 갈등이 커지면서 지역을 나누는 개념이 중요해지기 시작했다.[4] 지역을 법적으로 나누려는 첫 시도 중 하나는 1888년 유럽인에게 특정 지역을 할당한 '유럽 구역 예약 조례'였고, 본격적인 도시 계획 조례는 1939년에야 등장했다.[5][6]1898년 신계와 신구룡이 홍콩 영토가 되면서 식민지 정부는 이 지역들을 관리하기 위해 구역 관리관을 임명했다. 처음에는 타이포에 북부 구역 관리관이 있었고, 이후 북부와 남부 구역은 군도 구역, 툰문 구역, 위엔롱 구역, 사이쿵 구역 등으로 더 세분화되었다.
1968년부터는 홍콩 섬, 구룡, 신구룡 지역에도 구역 관리관이 임명되었다.[7] 1982년에는 각 구역에 구의회와 구역 관리위원회를 설립하는 구역 행정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는 홍콩 섬, 구룡, 신계를 모두 포함하는 제도였다. 이 제도의 목적은 구역별 서비스와 시설 제공을 더 효과적으로 조정하고, 정부가 지역 주민들의 필요와 문제점에 더 잘 대응하며, 구역 문제에 대한 주민 참여를 늘리는 것이었다. 1997년 7월 1일 홍콩 주권 반환 이후부터 1999년 12월 31일까지는 기존 구의회가 임시 구의회로 대체되었고, 2000년 1월 1일부터 18개의 구의회가 다시 활동을 시작했다.
1982년 구역 제도가 시행된 이후 다음과 같은 주요 변화가 있었다.
연도 | 내용 |
---|---|
1985년 | 콰이칭 구가 추안완 구에서 분리됨. |
1994년 | 야우침 구와 몽콕 구가 합병하여 야우침몽 구가 됨. |
이 외에도 여러 차례 구역 경계 조정이 이루어졌다.
2. 5. 경계 조정
1860년대 초기 홍콩에서는 같은 방언을 사용하는 주민들이 함께 모여 사는 경우가 많았으며, 구역 경계보다는 길드와 같은 사회적 구조가 더 중요하게 여겨졌다. 남박홍, 동화병원위원회, "구역 감시 위원회"와 같은 조직들은 특정 구역 경계와는 무관하게 활동했다. 그러나 1870년대에 들어서면서 쿨리(coolie), 중국인, 영국인 사이의 문화적 갈등이 심화되자 구역을 나누는 개념이 중요해지기 시작했다.[4]구역 구분을 법적으로 시도한 초기 사례 중 하나는 1888년 제정된 '유럽 구역 예약 조례'로, 특정 지역을 유럽인에게만 할당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본격적인 도시 계획 조례는 1939년에 이르러서야 마련되었다.[5][6]
1898년 신계와 신구룡이 홍콩의 일부가 되면서, 식민지 정부는 이 지역들을 관리하기 위해 구역 관리관 제도를 도입했다. 처음에는 타이포에 북부 구역 관리관이 주재했으며, 이후 북부 구역과 남부 구역은 군도 구역, 툰문 구역, 위엔롱 구역, 사이쿵 구역 등 여러 구역으로 세분화되었다. 1968년부터는 홍콩 섬, 구룡, 신구룡 지역에도 구역 관리관이 임명되었다.[7]
1982년에는 구역 행정 제도가 공식적으로 시행되어, 홍콩 섬, 구룡, 신계를 포함한 모든 지역에 구의회와 구역 관리위원회가 설립되었다. 이 제도는 구역 수준에서 정부 서비스와 시설 제공을 효과적으로 조정하고, 정부가 지역의 필요와 문제에 더 잘 대응하며, 구역 문제에 대한 주민 참여를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주권이 반환된 후인 1997년 7월 1일부터 1999년 12월 31일까지는 기존 구의회를 대신하여 임시 구의회가 운영되었고, 2000년 1월 1일부터 현재와 같은 18개 구의회 체제가 다시 자리를 잡았다.
1982년 구역 행정 제도 시행 이후 이루어진 주요 경계 조정은 다음과 같다.
- 1985년: 콰이칭 구가 추안완 구에서 분리됨.
- 1994년: 야우침 구와 몽콕 구가 합병하여 야우침몽 구를 형성함.
이 외에도 여러 차례 경계 조정이 있었다. 1990년대에는 대규모 토지 매립(서구룡 매립, 훙홈 만 매립 등)으로 인해 새로 생긴 땅의 경계를 설정하면서 샴수이포 구, 콰이칭 구, 야우침몽 구, 구룡시 구 사이의 경계가 변경되었다.[10] 2006년에는 노브힐 지역 개발 후 샴수이포 구와 콰이칭 구 사이의 경계가 조정되었고,[8] 2014년에는 틴하우 및 빅토리아 공원 선거구의 재조정에 따라 이스턴 구와 완차이 구 사이의 경계가 변경되었다.[9]
3. 홍콩의 행정 구역
행정적으로 홍콩은 18개의 구(地區)로 나뉜다.[11]
3. 1. 지역별 구분
행정적으로 홍콩은 18개의 구(地區)로 더 세분화된 세 지역(區域)으로 구성된다.[11] 세 지역은 홍콩 섬, 구룡, 신계이다.[12][13] 신계에 가장 많은 구(9개)가 있으며, 그 다음은 구룡(5개), 마지막으로 홍콩 섬(4개)이다.구별 인구 밀도는 도서 구의 1,021명/km2부터 관통 구의 59,704명/km2까지 다양하다.[14] 1995년 몽콕 구와 야우짐몽 구가 합병되기 전, 몽콕 구는 약 120,000명/km2에 달하는 최고 인구 밀도를 기록하기도 했다.
번호 | 구 | 중국어 | 면적 (1km2)[15] | 인구 (2021)[14] | 인구 증가율 (2011년 이후)[14] | 밀도 (명/km2)[14] |
---|---|---|---|---|---|---|
1 | 도서 | 182.74km2 | 185,282 | +31.1% | 1,021 | |
2 | 궤이칭 | 23.34km2 | 495,798 | -3.0% | 21,246 | |
3 | 노스 | 136.51km2 | 309,631 | +1.8% | 2,269 | |
4 | 사이쿵 | 136.34km2 | 489,037 | +12.0% | 3,771 | |
5 | 샤틴 | 69.27km2 | 692,806 | +9.9% | 10,082 | |
6 | 타이포 | 148.19km2 | 316,470 | +6.6% | 2,325 | |
7 | 추엔완 | 62.62km2 | 320,094 | +5.1% | 5,168 | |
8 | 툰문 | 87.54km2 | 506,879 | +4.0% | 5,908 | |
9 | 위엔롱 | 138.56km2 | 668,080 | +15.5% | 4,825 | |
신계 소계 | 986.1km2 | 3,984,077 | +7.9% | 4,137 | ||
10 | 가우룽싱 | 10.02km2 | 410,634 | +15.5% | 40,994 | |
11 | 관통 | 11.28km2 | 673,166 | +8.8% | 59,704 | |
12 | 셤수이포 | 9.36km2 | 431,090 | +13.2% | 47,067 | |
13 | 웡타이신 | 9.3km2 | 406,802 | -3.2% | 43,730 | |
14 | 야우짐몽 | 6.99km2 | 310,647 | +0.9% | 44,458 | |
구룡 소계 | 46.95km2 | 2,232,339 | +5.9% | 47,557 | ||
15 | 중서 | 12.55km2 | 235,953 | -6.2% | 18,808 | |
16 | 동 | 18.13km2 | 529,603 | -5.4% | 29,440 | |
17 | 사우스 | 39.4km2 | 263,278 | -5.5% | 6,779 | |
18 | 완차이 | 10.64km2 | 166,695 | -8.2% | 15,791 | |
홍콩 섬 소계 | 80.72km2 | 1,195,529 | -5.9% | 14,957 | ||
육지 전체 | 1113.76km2 | 7,411,945 | +4.8% | 6,801 | ||
해양 | 1641.21km2 | 1,125 | -5.3% | - | ||
합계 | 2754.97km2 | 7,413,070 | +4.8% | 6,782 |
3. 2. 각 구의 특징 (2021년 기준)
구별 인구 밀도는 km2당 1,021명(도서)에서 59,704명(관통)까지 다양하다.[14]No. | 구 | 중국어 | 면적 (km2)[15] | 인구 (2021)[14] | 인구 증가율 (2011년 이후)[14] | 밀도 (/km2)[14] | ||||||||||||||||||||||||||||||||||||||||||||||||||||||||||||||||||||||||||||||||||||||||||||||||||||||||||||||||||
---|---|---|---|---|---|---|---|---|---|---|---|---|---|---|---|---|---|---|---|---|---|---|---|---|---|---|---|---|---|---|---|---|---|---|---|---|---|---|---|---|---|---|---|---|---|---|---|---|---|---|---|---|---|---|---|---|---|---|---|---|---|---|---|---|---|---|---|---|---|---|---|---|---|---|---|---|---|---|---|---|---|---|---|---|---|---|---|---|---|---|---|---|---|---|---|---|---|---|---|---|---|---|---|---|---|---|---|---|---|---|---|---|---|---|---|---|---|---|---|---|
1 | 도서 | {{lang|zh-hk|離島區|} | }
구 | 2004년(%) | 2003년(%) | 2000년(%) |
---|---|---|---|
줴이칭 | 9.5 | 11.9 | 6.1 |
노스 | 8.7 | 10.5 | 5.9 |
툰문 | 8.4 | 10.6 | 5.6 |
위엔롱 | 8.4 | 12.3 | 5.1 |
샴수이포 | 10.3 | 6.1 | |
관통 | 8.0 | 9.7 | 5.3 |
웡타이신 | 7.9 | 9.1 | 6.9 |
타이포 | 7.8 | 10.3 | 5.9 |
사틴 | 6.9 | 8.3 | 4.9 |
아일랜드 | 6.5 | 7.1 | 2.5 |
사이쿵 | 6.3 | 7.5 | 4.0 |
야우침몽 | 6.3 | 9.8 | 5.5 |
취안완 | 5.7 | 7.3 | 4.5 |
가우룽시 | 5.5 | 6.9 | 3.9 |
이스턴 | 5.1 | 6.0 | 4.0 |
센트럴 & 웨스턴 | 4.0 | 4.4 | 3.4 |
사우스 | 4.5 | 6.6 | 4.7 |
완차이 | 7.0 | 5.2 | 3.0 |
홍콩 | 7.0 | 8.8 | 5.0 |
- 출처: 통계처, 데이터는 2005년 5월 1일자 명보에서 가져옴.
6. 2. 구별 가구 월 중간 소득 (2019년, 홍콩 달러)
wikitext구 | 가구 월 중간 소득 (HK$) |
---|---|
완차이 | 44,100 |
중서구 | 41,400 |
사이쿵 | 36,500 |
동구 | 34,300 |
남구 | 32,800 |
췬완 | 32,600 |
북구 | 30,400 |
구룡성 | 30,000 |
야우침몽 | 30,000 |
사틴 | 29,700 |
도서 | 28,400 |
위엔롱 | 27,000 |
타이포 | 25,800 |
웡타이신 | 25,500 |
툰문 | 25,000 |
콰이칭 | 24,700 |
삼수이포 | 24,300 |
관통 | 22,500 |
참조
[1]
뉴스
Time to revamp Hong Kong's neglected district councils
http://www.scmp.com/[...]
SCMP
2013-11-18
[2]
웹사이트
A' Department (Operations)
https://www.police.g[...]
[3]
웹사이트
Hongkong Post: Delivery Office Information
https://www.hongkong[...]
[4]
서적
Hong Kong in Chinese History: community and social unrest in the British Colony, 1842–1913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5
[5]
서적
Town Planning Practice: Context Procedures and Statistics for Hong Kong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00
[6]
서적
Prostitution, Race and Politics: Policing Venereal Disease in the British Empire
Routledge Publishing
2003
[7]
PDF
https://www.legco.go[...]
2022-03
[8]
PDF
https://www.legco.go[...]
2022-03
[9]
PDF
https://www.legco.go[...]
2022-03
[10]
문서
Schedule to Declaration of Districts Order 1994, Cap 366H, and plan nos. DB/94/F, DB/94/E, DB/94/S; Part II of Schedule 1 to District Councils Bill 1999, and maps numbered DC/2000/F, DC/2000/E, DC/2000/S.
[11]
웹사이트
各區域及地區 AREAS AND DISTRICTS
https://www.rvd.gov.[...]
[12]
웹사이트
Revenue Department - Districts
https://www.rvd.gov.[...]
[13]
웹사이트
18 districts gov.hk
https://www.gohk.gov[...]
[14]
보고서
2021 Population Census: Summary Results
https://www.censtatd[...]
Census and Statistics Department, Hong Kong SAR
2022-02-28
[15]
웹사이트
Hong Kong Geographic Data (As at October 2021)
https://www.landsd.g[...]
Lands Department, Hong Kong SAR
2022-01
[16]
웹사이트
Home Affairs Department - District Officer function, Retrieved 2018-05-29
https://www.had.gov.[...]
2018-05-29
[17]
문서
中華人民共和国の特別行政区
[18]
문서
ヨーロッパにも分類され得る。
[19]
문서
一部はアフリカに含まれ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